박해기(1784∼1884) |
중국에서 간행된 한문 교리서적들은 우리의 선비들에게 천주교의 존재를
알려주었고, 신앙의 선조들은 이를 실천해 나갔다. 이로써 1784년 한국천주교회가 창설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교회가 창설된 다음 100여년 간에
걸쳐 교회는 혹독한 탄압에 직면하였다. 이 탄압의 와중에서도 도처에 신앙공동체가 이루어졌고, 천주교 신앙은 민중 종교운동의 성격을 띠면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시대의 신도들은 삶을 위협하는 박해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믿음을 키워나가며, 이웃에 복음을 전했다.
이 무수한 신앙인들의 노력에 의해 한국천주교회는 발전할 수 있었다. 100여년 간에 걸친 박해는 참다운 신앙의 가치를 거듭 확인해 주었으며,
혹형에도 굴하지 아니했던 신도들의 용기는 우리 교회의 초석이 되었다. 이제 우리 교회는
순교의 전통을 이어받아 이 땅에 우뚝 서서 참다움에 목말라 하는 겨레에게 마르지 아니하는 샘물을 길러주고 있다. |
|
의주의 변문과 수구 의주(義州)는
조선과
중국을 연결 하는 국경도시였다. 의주성(城)의 변문(邊門, 사진:좌)을 통해 중국의 문물이
조선에 전래되었고,
17세기 초엽 이후 천주교 서적이 들어왔으며, 18세기 후반기에 이르러 이 문으로 신앙이
들어왔다. 의주성의
수구(水口,를 통해서는 조선의 신도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1795년 이후 선교사들이 자신의 몸을 낮추어 숨어들었다 |
|
|
의주의 변문(邊門) 이 문을 통해
천주교 신앙이스며들었고, 이 땅에 스며들었고, 북경((北京)의 선교사를 만나기 위해
조선인
신도들이 드나들었다
|
|
|
초기 교회의 신도 생활 1800년대의
신도들은 박해의 소용돌이 속에서 성당을 가질 수가 없었다. 그러나 초라한
초막이라 한들 그 신앙의 열기를 사르는
데는 부족함이 없었다.
|
|
|
옹기를 만드는 신도 박해시대 산
속에 숨어든 신도들 대부분은 화전(火田)을 일구거나 옹기를 만들며 살았다. 그들은 삶의 애환이
서린
옹기에 신앙을 담아 이웃에 전했다. |
|
|
|
주뢰 신자들의 배교를 강요한 형구(刑具).
영조(英祖) 때에 사용이 제한되었으나 천주교 신자들에게 배교를 강요하기 위해 이 형구가
다시
등장했다.
상복을 입은 선교사 하늘과 사람을 대하기 민망한 상인(喪人)의 복장으로 박해시대의 선교사들은 자신의 외모를 감추고 선교에
임했다. 그들은 박해자의 무지(無知)를 곡(哭)하는 상인(喪人)이었으며, 참다운 신앙의 탄압을 슬퍼하던
사람들이었다.(사진:우) |
|
|
|
|
족쇄
|
곤장과 큰 칼
|
길거리의 상인(喪人)
|
감옥에 갇힌 신자들의 발과 함께 이 땅의 신앙
자유를 얽어 매었던 형구.
|
신도들이 구금되었을 때 목에는 큰
칼을 씌웠으며, 그들에게 곤장을 쳐서 배교를 재촉했고, 다른 교우의 고발을 강요했다. 그러나 신앙의 기쁨은 모든 악형의 고통을 이길
수 있었다.
|
당시의 거리를 거니는
상인(喪人)의 모습.
|
|
|
서소문 밖 네거리 지금은 기차와
자동차,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로 가득찬 서울역 염천교 부근. 이 곳에서
성인 정하상(丁夏祥,1795-1839)을 비롯한 무수한 순교자들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며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선포했다. |
|
|
새남터 순교자들의 피가 스며든 땅.
이제
그 위에 순교의 비가 우뚝섰다. 성 김대건 신부 그리고 프랑스 선교사들이 이 곳에서 순교했다. 이로써 새남터는
성인(聖人)을
낳은 거룩한 땅이 되었으며, 한국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맞이하여 건립된 기념 성당이
이 땅을 지키고 있다 |
|
김대건 신부 기념비각 25세의 젊은 나이로 피를
흘리며 순교한 성 김대건(1821-1846) 신부의 유해가 묻혔던 미리내의 기념비각. 김대건 신부는 한국인 최초의
성직자이며, 한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성직자의 주보(主保)이다. 지금 이 비각은 사라지고 새로운 기념 경당이 세워졌다. 그의
거룩한 믿음과 염원은 이 땅에 참 믿음의 뿌리를 내리게 했다 |
|
배론의 성 요셉 신학당 한국 신학 교육의
요람지이며 한국 근대교육의 출발점. 성 베르뇌(Berneux, 張) 주교는 박해의 어려움 속에서도 한국교회를
짊어질 지도자의 양성을 위해 이곳에서 신학 교육을 시작했다. (1856-1866) |
|
|
만주 챠코우의 선교사 대기소 한국에 신앙을
전하기 위해 입국 준비를 하던 선교사들은 만주 챠코우에 있는 이 집에 머물며 순교를 각오하고
입국의 기회를 기다렸다. 이
집을 거쳐간 여러 선교사들이 1866년의 박해 때 순교하였고, 베르뇌(Berneux, 張) 주교를
비롯한 10인의
선교사들은 성인의 반열에 올랐다. |
|
교의 회다. |
|
|
|
천주실의(天主實義)
|
주교요지
|
동양 문화에 매혹되었고,
그리스도의 사랑에 불타던 마태오 리치 신부는 동서 (東西)의 사상을 어울러서 이 책을 지었다. 이 책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큰
경이(驚異)로 이해되었고, 이벽, 이승훈, 권일신이 천주교 신앙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
정약종(1760-1801)은 우리의 전통
문화를 기반으로 하여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전하기위해 읽기 쉬운 한글로 이 책을 지었다. 복음은 모든 이에게 개방된 것이기에
양반이었던 그는 아녀자 와 상놈과 천인들을 형제로 받아들였고 그들의 문자인 한글을 귀중히 여겼으며, 이로써 하느님의 진리를
전파하였다.
|
|
1864년에 간행된 천주교 서적
|
치열한 박해
속에서도 신앙의 선포는 중단될 수 없는 법. 목판(木版) 에 글을 새겨 책을 만들어 진리에 목말라하는 모든 이에게 이를
전했다. |
|
|
재령의 신도들 신앙의 자유가
왔다. 1901년 황해도 재령의 신도들은 기쁨과 감사의 정에 겨워 참으로 오랜만에 누리게 된 신앙의 자유를
만끽하며 선교사와 함께 어울렸다. |
|
건축 중인 명동성당 1895년 명동성당의 건축
광경. 종현(鐘峴)의 언덕 마루에 명동성당이 세워지고 있다. 신앙의 자유와
민족 복음화의 열망과 함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