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해박해 (己亥迫害)
1839년(헌종 5)에 일어난 제2차 천주교 박해사건이다.
기해사옥(己亥邪獄)이라고도 한다. 이 사건은
표면적으로는 천주교를 박해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실제에서는 시파(時派)인 안동김씨로부터 권력을 탈취하려는 벽파(僻派) 풍양조씨가 일으킨 것이다. 1834년(헌종 즉위년)
헌종이 8세에 즉위하자 순조의 비(妃) 순원왕후(純元王后; 안동김씨로서 익종의 생모, 헌종의 조모)가 수렴청정하였으며, 왕대비를 적극
보필한 사람은 그 오빠 김유근(金儷根)이었다. 1836년부터 병으로 말조차 못하던 그는, 1839년 유진길(劉進吉)의 권유를 받고 세례까지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동김씨의 천주교에 대한 태도는 관용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김유근의 은퇴로 천주교를 적대시하고
순조로부터 헌종을 보도하도록 위촉받은 조인영(趙寅永)과 절친한 인물인 우의정 이지연(李止淵)이 정권을 잡으면서 상황은 변하였다. 안동
김씨인 형조판서 조병현(趙秉鉉)으로부터 그 동안의 천주교 전파 상황을 보고받은 그는 1839년 3월 입궐하여, 이조판서 조만영(趙萬永)과 함께 천주교인은 무부무군(無父無君)으로 역적이니 근절하여야 한다는 천주교에 대한 대책을 상소하였다. 이어 사헌부집의
정기화(鄭琦和)도 천주교의 근절을 위하여 그 원흉을 잡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상소를 올렸다. 이에 따라 포도청에서 형조로 이송된 천주교인은
43명이었으며, 그 중 대부분이 배교하여 석방되었으나 남명혁(南明赫)·박희순(朴喜順) 등 9명은 끝내 불복, 사형되었다. 5월 25일에는
대왕대비의 척사윤음(斥邪綸音)이 내렸으며, 천주교 박해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때 정하상(丁夏祥)·유진길·조신철(趙信喆) 등
중요인물이 붙잡혔으며, 당시 프랑스의 외방전교회(外邦傳敎會) 소속의 주교 앵베르(Imbert)는 교인이
고초받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모방(Maubant)과 샤스탕(Chastan)에게도
자현(自現)할 것을 권고한 쪽지를 보내고 자현함으로써, 조선 교회 재건운동은 큰 타격을 입었다. 이때 정하상은 척사윤음에 대하여
〈상재상서(上宰相書)〉를 올려 천주교를 변호하였다. 조정에서는 6월에는 이광열(李光烈) 이하 8명을, 8월에는 앵베르·모방과 샤스탕을
군문효수(軍門梟首)하고, 정하상과 유진길도 참형에 처하였다. 이때 피해를 입은 교도수는 《헌종실록》에 따르면, 배교하여 석방된 자가 48명,
옥사한 자 1명, 사형된 자가 118명 등이었다.
그러나 현석문(玄錫文)이 쓴 《기해일기》에
따르면, 참수된 자가 54명이고, 교수형 장하(杖下)에 죽은 자·병사한 자가 60여 명이었다고 한다. 이 사건으로 세도가문은 안동김씨에서
풍양조씨 가문으로 옮겨졌다.
<두산대백과사전>참고
구분
|
연도
|
박해의 직접원인
|
경과
|
순교자수
|
비고
|
기해(己亥)박해
|
1839~‘41 (헌종1~)
|
천주교를 싫어하던 벽파와 시파의 세도싸움과 불란서 샤스텡, 모방신부,중국 유방제신부의 입국이 알려짐
|
대박해로 범주교, 신부2, 이호영, 정하상, 정정혜,유진길,유대철 권득인등 순교, “척사윤음” “상재상서”지음
|
성직자3 교우200여명 순교
|
70위가시성됨, 척사윤음 : 유교의 정통성과 천주교의 그릇됨을 늘어놓음
상재상서 : 척사윤음을 논박한 호교론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