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도 정치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1. 나이 어린 왕과 외척 세력
 (1) 세도 정치의 의미 :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은 몇몇 가문이 권력을 독점하는 비정상적인 정치 형태
 (2) 세도 정치 시기 : 순조, 헌종, 철종의 3대 60여 년 간
 (3) 대표적인 세도 가문 : 노론에 속하는 안동 김씨, 풍양 조씨
 (4) 세도 정치의 폐해
     ① 세도 가문이 관직을 독점, 국가 정책을 좌우 → 정치 기강의 문란, 삼정의 문란
     ② 왕권 약화 : 왕은 허수아비와 같은 존재

2. 정치 기강의 문란
 (1) 배경 : 세도가의 독주를 견제할 세력이 없음
 (2) 문란상
     ① 과거 제도의 문란 : 실력보다는 부정에 의해서 합격이 좌우
     ② 매관 매직 : 세도가에게 뇌물을 주고 관직 매매 → 관직을 산 관리들의 불법적인 조세 수탈 → 백성들의 고통 심화

3. 삼정의 문란
 (1) 삼정 : 전세(농토에 부과), 군포, 환곡
 (2) 문란상
     ① 전세의 문란 : 관리들이 새로운 항목의 세금을 만들어 정해진 양의 몇 배 이상을 거둠
     ② 환곡의 문란
       ㆍ의미 :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약간의 이자를 붙여 받아들이는 것
       ㆍ초기의 운영 : 이자를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손실을 보충하는 데 이용
       ㆍ이자의 세금화 : 관청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한 재원으로 사용, 고리대 구실로 변질,
                                양반 지주들이 환곡을 기피하여 농민들이 원치 않는 환곡을 떠맡음 → 삼정의 문란 중 제일 극심



농민 봉기가 자주 일어난 까닭은?

1. 떠도는 농민
 (1) 원인 : 삼정의 문란과 탐관 오리의 착취로 농민 생활이 궁핍해짐.
 (2) 농민 유랑 형태
     ① 유랑민ㆍ산간의 화전민화
     ② 국경을 넘어 간도나 연해주로 이주
     ③ 도시나 광산촌, 수공업촌으로 흘러 들어가 품을 팔아 생계 유지
 (3) 결과 : 떠난 사람들이 부담해야 할 세금을 남아 있는 친척이나 이웃이 부담하게 되어 농민들의 부담 가중

2. 농민들의 분노
 (1) 소극적 저항 : 벽보를 붙여 탐관오리 비방
 (2) 적극적 저항
     ① 세금 납부 거부, 집단적 항의 시위, 수령 모욕
     ② 관아 습격, 탐관 오리 폭행
     ③ 일부 농민들은 도적의 무리에 가담 → 사회 불안 심화
 (3) 정부는 대책으로 암행어사를 파견하나 효과를 거두지 못함

3. 홍경래의 난(1811)
 (1) 배경 : 세도 정치, 평안도 지방에 대한 부당한 차별 대우
 (2) 중심 세력 : 홍경래 등과 같은 몰락 양반, 가난한 농민, 품팔이꾼 등
 (3) 전개 과정 : 청천강 이북의 여러 고을을 점령하였으나 정주성 전투에서 패하여 진압됨
 (4) 실패 원인 : 평안도 지역에 한정, 농민층을 끌어들일 개혁안의 부재
 (5) 영향
     ① 탐관오리의 착취와 지방 차별에 반대한 농민 항쟁
     ② 정부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이후 농민 봉기에 영향을 줌

4. 진주 농민 봉기(1862)
 
(1) 원인 : 경상 우병사 백낙신의 수탈에 견디다 못한 농민들이 몰락한 양반 출신인 유계춘 등을 중심으로 하여 일으킨 봉기
 (2) 민란의 특징
     ①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발생
     ② 단순한 반발이 아닌, 사회적 불만을 드러낸 농민의 자각 운동
     ③ 전국적으로 농민 봉기가 확산되는 계기가 됨


▲ 19세기의 농민 봉기

동학혁명군의 전투장면 상상화.

동학혁명은 우리나라 역사에 있어 최초로 민중의 자각에 의한 전국적 농민항쟁으로서 근대사회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


   전주 전동성당
   사적 제 288호.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동
   조선시대 천주교도의 순교터에 세운 성당.
   1791년 윤지충, 권상인, 1801년 유항검, 윤지헌 등이 푸남문 밖 이곳에서 처형되었다.
   1908년 프랑스 신부 보두네가 성당건립에 착수하여, 1914년 완공하였다.
   이 성당은 로마네스크 복고양식의 건물로, 인접한 풍남문과 경기전과 더불어, 전통 문화와
   서양 문화의 융합의 상징이다.    

천주교와 동학이 널리 퍼진 배경은?

1. 새 세상을 꿈꾸다
 (1) 예언 사상의 유행 : 새로운 세상이 오기를 바라는 민중의 소망을 나타냄
     ① 정감록 사상 : 이씨 왕조가 망하고 정씨 왕조가 들어선다는 예언
     ② 미륵 신앙 : 미래불인 미륵불이 내려와 중생을 구제한다는 신앙
     ③ 후천 개벽 사상 : 이 세상이 멸망하고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는 사상
 (2) 민간 신앙의 발달 : 민간에는 무속 신앙 유행(무당이 굿이나 풀이로 화를 멀리하고 복을 비는 신앙), 19세기 민중들의 정신적 지주

2. 천주교의 전파
 (1) 중국에 와 있던 서양 선교사들로부터 천주교 서적을 얻어오면서 전래
 (2) 서양 학문의 한 부분으로 천주교 연구하다가 정조 때부터 신앙화
 (3) 정조 때 이승훈이 청에서 서양인 신부의 세례를 받고 돌아온 뒤 조선 교회 설립
 (4) 초창기에는 정권에 참여하지 못한 양반과 중인 위주였으나 점차 서민층과 여성으로 확대됨
 (5) 조선 정부의 박해
     ① 원인 : 제사 의식 무시, 인간 평등과 내세 사상이 조선의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
     ② 박해 : 순조 즉위 후 대대적인 박해(신유박해)
     ③ 결과 : 정치 부패와 사회 불안으로 인해 교세 확장

3. 동학의 성립
 (1) 배경 : 사회 혼란과 민심의 불안, 서양 세력의 침략 위협, 기존 종교들이 제구실을 수행하지 못함.
 (2) 창시 : 최제우가 전통적인 민간 신앙과 유교·불교·도교를 융합하여 창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 등의 경전이 있음.
 (3) 동학의 성격
     ① 민중적 : 고통 받는 사람들을 구원하려는 사회 운동
     ② 민족적 : 서양 세력의 침략으로부터 우리의 것을 지키고 나라를 구하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