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이 어린 왕과 외척 세력 (1) 세도 정치의 의미 :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은 몇몇 가문이 권력을 독점하는
비정상적인 정치 형태 (2) 세도 정치 시기 : 순조, 헌종, 철종의 3대 60여 년 간 (3) 대표적인 세도
가문 : 노론에 속하는 안동 김씨, 풍양 조씨 (4) 세도 정치의 폐해 ① 세도 가문이 관직을 독점, 국가 정책을 좌우 →
정치 기강의 문란, 삼정의 문란 ② 왕권 약화 : 왕은 허수아비와 같은 존재
2. 정치 기강의 문란 (1) 배경 : 세도가의 독주를 견제할 세력이
없음 (2) 문란상 ① 과거 제도의 문란 : 실력보다는 부정에 의해서 합격이 좌우 ② 매관 매직 :
세도가에게 뇌물을 주고 관직 매매 → 관직을 산 관리들의 불법적인 조세 수탈 → 백성들의 고통 심화
3. 삼정의 문란 (1) 삼정 : 전세(농토에 부과), 군포,
환곡 (2) 문란상 ① 전세의 문란 : 관리들이 새로운 항목의 세금을 만들어 정해진 양의 몇 배 이상을 거둠 ② 환곡의 문란 ㆍ의미 :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약간의 이자를 붙여 받아들이는
것 ㆍ초기의 운영 : 이자를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손실을 보충하는 데 이용 ㆍ이자의 세금화 : 관청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한 재원으로 사용, 고리대 구실로 변질, 양반 지주들이 환곡을 기피하여 농민들이 원치 않는
환곡을 떠맡음 → 삼정의 문란 중 제일 극심
농민 봉기가 자주 일어난
까닭은?
1. 떠도는 농민 (1) 원인 : 삼정의 문란과 탐관 오리의 착취로
농민 생활이 궁핍해짐. (2) 농민 유랑 형태 ① 유랑민ㆍ산간의 화전민화 ② 국경을 넘어 간도나 연해주로
이주 ③ 도시나 광산촌, 수공업촌으로 흘러 들어가 품을 팔아 생계 유지 (3) 결과 : 떠난 사람들이 부담해야 할 세금을
남아 있는 친척이나 이웃이 부담하게 되어 농민들의 부담 가중
2. 농민들의 분노 (1) 소극적 저항 : 벽보를 붙여 탐관오리
비방 (2) 적극적 저항 ① 세금 납부 거부, 집단적 항의 시위, 수령 모욕 ② 관아 습격, 탐관 오리
폭행 ③ 일부 농민들은 도적의 무리에 가담 → 사회 불안 심화 (3) 정부는 대책으로 암행어사를 파견하나 효과를 거두지
못함
3. 홍경래의 난(1811) (1) 배경 : 세도 정치, 평안도 지방에
대한 부당한 차별 대우 (2) 중심 세력 : 홍경래 등과 같은 몰락 양반, 가난한 농민, 품팔이꾼 등 (3) 전개 과정 : 청천강
이북의 여러 고을을 점령하였으나 정주성 전투에서 패하여 진압됨 (4) 실패 원인 : 평안도 지역에 한정, 농민층을
끌어들일 개혁안의 부재 (5) 영향 ① 탐관오리의 착취와 지방 차별에 반대한 농민 항쟁 ② 정부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이후 농민 봉기에 영향을 줌
4. 진주 농민 봉기(1862) (1) 원인 : 경상 우병사 백낙신의
수탈에 견디다 못한 농민들이 몰락한 양반 출신인 유계춘 등을 중심으로 하여 일으킨 봉기 (2) 민란의
특징 ①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발생 ② 단순한 반발이 아닌, 사회적 불만을 드러낸 농민의 자각
운동 ③ 전국적으로 농민 봉기가 확산되는 계기가 됨
▲ 19세기의 농민
봉기
동학혁명군의 전투장면 상상화.
동학혁명은 우리나라 역사에 있어 최초로 민중의 자각에 의한 전국적
농민항쟁으로서 근대사회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
전주 전동성당 사적 제 288호.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동 조선시대 천주교도의 순교터에 세운
성당. 1791년 윤지충, 권상인, 1801년 유항검, 윤지헌 등이 푸남문 밖 이곳에서 처형되었다. 1908년 프랑스
신부 보두네가 성당건립에 착수하여, 1914년 완공하였다. 이 성당은 로마네스크 복고양식의 건물로, 인접한 풍남문과 경기전과 더불어,
전통 문화와 서양 문화의 융합의 상징이다.
천주교와 동학이 널리 퍼진
배경은?
1. 새 세상을 꿈꾸다 (1) 예언 사상의 유행 : 새로운 세상이
오기를 바라는 민중의 소망을 나타냄 ① 정감록 사상 : 이씨 왕조가 망하고 정씨 왕조가 들어선다는 예언 ② 미륵
신앙 : 미래불인 미륵불이 내려와 중생을 구제한다는 신앙 ③ 후천 개벽 사상 : 이 세상이 멸망하고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는
사상 (2) 민간 신앙의 발달 : 민간에는 무속 신앙 유행(무당이 굿이나 풀이로 화를 멀리하고 복을 비는 신앙),
19세기 민중들의 정신적 지주
2. 천주교의 전파 (1) 중국에 와 있던 서양 선교사들로부터 천주교
서적을 얻어오면서 전래 (2) 서양 학문의 한 부분으로 천주교 연구하다가 정조 때부터 신앙화 (3) 정조 때 이승훈이 청에서
서양인 신부의 세례를 받고 돌아온 뒤 조선 교회 설립 (4) 초창기에는 정권에 참여하지 못한 양반과 중인 위주였으나 점차 서민층과
여성으로 확대됨 (5) 조선 정부의 박해 ① 원인 : 제사 의식 무시, 인간 평등과 내세 사상이 조선의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 ② 박해 : 순조 즉위 후 대대적인 박해(신유박해) ③
결과 : 정치 부패와 사회 불안으로 인해 교세 확장
3. 동학의 성립 (1) 배경 : 사회 혼란과 민심의 불안, 서양
세력의 침략 위협, 기존 종교들이 제구실을 수행하지 못함. (2) 창시 : 최제우가 전통적인 민간 신앙과
유교·불교·도교를 융합하여 창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 등의 경전이 있음. (3) 동학의 성격 ①
민중적 : 고통 받는 사람들을 구원하려는 사회 운동 ② 민족적 : 서양 세력의 침략으로부터 우리의 것을 지키고 나라를 구하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