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한국 천주교회 성립의 배경

(1) 대외적 배경 :
 16세기 말엽 서양세력이 동양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문물과 종교가 동양에 전파되었다. 중국을 종주국으로 하던 우리 나라는 중국을 통해 천주교가 들어오게 된다. 그 중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마태오 릿치가 쓴 「천주실의」이다. 마태오 릿치는 기존 중국 문화를 바탕으로 해 천주교 신앙을 전파시키는 선교정책을 썼다. 그렇기에 우리 나라에서도 천주교를 쉽게 받아들일 수가 있었다. 「천주실의」는 진리를 목말라하던 소수의 실학자들을 매료시켰다. 그러나 17세기까지는 지식과 사회문화운동의 대상이었을 뿐 실천적 신앙의 대상은 아니었다.


(2) 대내적 배경 :
 문화의 변동으로 15세기 건국이래 조선의 지도 이념이었던 주자학이 18세기 후반에는 그 긍정적 역할을 상실하여 가고 있었으며, 이에 지식인들 사이에 성리학의 가치를 대체해 줄 서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이념적인 면에서 볼 때 서학이란 천주교를 가르키는 것이다.


(3) 사회적 배경 :
 18세기 후반 신분제 사회질서가 무너져 내리고 있었는데 서학 즉 천주교의 평등사상에 기초한 이론은 우리 나라에 천주교가 자발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활력소가 되었다.

 

 2. 교회의 성립
 위에 설명한 배경 하에 천주교가 학문으로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그리스도교의 인권과 평등사상은 당시 진보적 지식인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게 된다. 이벽, 정약전, 권일신 등 신앙 선조들은 중국의 교리서를 통해 몸소 신앙을 실천하였고, 주어사를 중심으로 강학을 시작하다가 마침 사절단의 일원으로 북경에 가는 이승훈에게 교리를 더 깊이 배워 오게 하였다. 이승훈은 1784년 북경에서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서 이벽, 권일신 등에게 세례를 줌으로써 교회가 성립된다. 이벽은 이승훈이 중국에서 가져온 서적들을 가지고 연구한 후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처음에는 양반 지식인층을 대상으로 전교를 시작하였고, 점차 신분의 차이를 건너뛰게 되었다. 그러나 1789년 윤지충에 의해 조상제사 문제가 생기자 그것으로 인해 갈등이 생긴 양반층들이 떨어져나가고 하층계급의 서민들에게서 더욱 순수한 신앙으로 발전해 나갔다.

 

 3. 가성직 제도와 성직자 영입 운동
 1786년부터 지도급 신도들은 북경의 교회제도를 본따서 주교직과 사제직을 맡아 교회의 발전을 꾀했다. 이것이 가성직 제도로서 2년간이나 계속되었다. 그러던 중 이 제도의 타당성을 북경의 주교에게 문의한 결과, 북경의 주교는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알려주었고, 이에 조선교회는 성직자를 조선에 파견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1794년에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입국하여 활동했으나, 1801년에 체포되어 순교하였다. 조선교회는 그 이후 33년간 성직자 없이 지내면서 계속 성직자의 파견을 요청하는 한편, 교회부흥운동을 펴나갔다. 이런 노력의 결실로, 1831년에 교황 그레고리오16세는 조선교구를 설정하고 브뤼기에르 소 주교를 초대주교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소 주교는 조선으로 오는 도중 병사했고, 중국인 유방제 신부와 프랑스인 모방, 샤스땅 신부와 소 주교의 후임인 앵베르 범 주교가 차례로 입국하게 된다.

 

 4. 방인 성직자 배출
 교우의 수가 늘어나면서 범 주교는 방인 성직자 양성을 꾀한다. 그는 3명의 소년을 마카오에 보내고자 그 적격자를 물색하는 한편, 학생을 가르쳐 짧은 기간 안에 신부가 되게 하는 방법을 쓰기도 했다. (그 결과 1838년에 4명의 장년 신학생을 얻게 되었는데 그들은 그 때까지 성직자를 맞아들이기 위해 12번이나 북경에 왕래한 정약전의 아들 정하상(바오로), 이승훈의 친손이던 29세의 홀아비 이재용(도마) 마카오에서 유학하던 최방제(프란치스코)의 맏형 최 베드로 등이었다.)
 범 주교는 이들에게 라틴어와 신학을 가르쳐 정하상과 이문우는 몇 해 안에 신품을 받게 될 것 같았으나 이듬해 일어난 기해박해로 실현을 보지 못하였다.
 김대건은 1845년 8월 24일에 방인으로서는 최초로 서품을 받고 여러 차례의 시도 끝에 조선에 입국하게 된다. 하지만 1846년 6월에 체포된다. 그의 재능을 아깝게 생각한 조선의 조정은 그를 회유하기 위해 노력하나 결국 실패한다. 이에 9월 16일에 한강가 새남터에서 순교하게 된다. 최양업은 1849년 4월 15일에 서품을 받고 한국의 두 번째 신부가 된다. 그는 다섯 번의 시도 끝에 조선에 입국하게 된다. 그는 지칠 줄 모르는 열성으로 전교와 저술활동에 힘썼다. 그러던 중 1861년 6월 과로로 쓰러져 보름만에 사망하게 된다.

 

 5. 천주교 박해
 천주교는 조선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크고 작은 박해를 받게 된다. 그 중에서도 네 차례의 큰 박해를 겪게 된다.
 
※박해의 원인   사상적 원인 - 유교사상과 그리스도교 평등사상의 충돌
                       사회적 원인 - 조상 제사문제
                       정치적 원인 - 당파싸움의 방편(남인에 대한 박해)

(1) 신유박해 (1791년)
 정조는 천주교에 관대한 정책을 펴서 한 때 신도의 수가 1만여 명에 달했다.
그러나 정조가 죽고 순조가 즉위하자 순조의 조모인 대왕대비 김씨가 실권을 잡고 전시대의 실권자인 시파를 제거할 목적으로 시파화 가까웠던 신도들을 탄압하게 된다. 이 때 주문모 신부와 300여명의 신도들이 순교하게 된다.


(2) 기해박해 (1839년)
순조가 죽고 헌종이 즉위하자 헌종의 외조부이며 벽파였던 조만영이 전 정권의 시파를 축출하기 위해 다시 천주교를 탄압하였다. 또 외국인 성직자들이 들어와 있다는 소문이 퍼지자 그들을 처단하기 위해서 천주교를 탄압하였다. 이때 성직자 세 명과 신도 200명이 순교하게 된다.


(3) 병오박해 (1846년)
1846년에 다시 김대건 신부의 체포를 계기로 박해가 일어나게 된다. 이 때 김대건 신부를 비롯한 많은 신도들이 순교하게 된다.


(4) 병인박해 (1866년)
 헌종이 죽은 후 즉위한 철종은 천주교에 너그러운 정책을 펼쳤다. 이에 신도들의 수는 2만 3천 여명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철종이 죽고 고종이 즉위하자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이 외국세력에 대항하여 천주교를 탄압했다. 대원군의 탄압으로 9명의 성직자와 8천 여명의 신도들이 순교하게 된다.